환경호르몬 phthalate [ 프탈레이트 ]
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 첨가제.
탈산염이라고도 한다. 플라스틱은 고분자화합물이라, 그 자체는 매우 딱딱하기 때문에 딱딱한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해 주기 위해서는 첨가물이 필요하다. 프탈레이트는 바로 플라스틱, 특히 폴리염화비닐(PVC)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성분으로, 193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.
즉 폴리염화비닐을 만들 때 사용하는 화학 첨가제로, 그 종류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(DEHP), 디부틸프탈레이트(DBP), 부틸벤질프탈레이트(BBP),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(PET) 등 여러 가지가 있다.
세계 각국은 DEHP 등 6종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잠정결정을 내리고 1999년부터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환경호르몬 추정물질로 관리해 왔다.
2005년 유럽연합(EU) 독성·생태독성 및 환경과학위원회는 프탈레이트 6종의 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DEHP·DBP·BBP 등 3종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발암성과 변이독성, 재생독성이 있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.
'현 실정의 문제점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타일면과 타일면이 서로 부디쳐 발생되는 미세 유리조각 같은 날카로운 위험한 이물질이 발생 (0) | 2018.01.23 |
---|---|
스마트 염전을 왜 해야만 하는지 그 필요성 (0) | 2018.01.06 |
스마트 염전 & 태양광발전 동시 구축에 대하여 세계적인 명품 천일염 생산 및 브랜드 창출에 따른 새로운 고급 일자리창출까지 (0) | 2017.10.30 |
이젠, 정부가 직접 실체적인 ‘세계적인 명품 천일염’ 시범 생산으로 입증해야 한다. (0) | 2017.10.08 |
2년전 창조경제시절 합법을 가장키위해 짜고치던 고스톰판 냄새나는 공고를 보고 지적했던 과거 글 (0) | 2017.10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