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럽 대부분의 국가와 미국, 일본, 프랑스 등. 세계 여러 선진국에서는 정제염을 만들 줄 몰라서 천일염을 좋아할까.?
,● 천일염 세계화 전략 ⇨ MKC 고품질 천일염’ 생산
,
○ 목 표 : 천일염 명품화를 위한 염전 대개혁.
○ 목 적 : 5,000만 국민의 오랜 숙원사항 해결.
○ 현실정 : 세계적인 명품천일염은 없고 비위생적인 천일염만 생산 유통.
○ 문제점 : 1) 환경호르몬 (프탈레이트) 위해성 염려.
2) 불용분, 사분, 녹물, 뻘물 등 각종 미세립 위해물질 혼입.
3) 검정 염화비닐장판에 의한 갯벌 환경파괴 및 악취. 등등~
○ 추진방향 : MKC 특허공법 활용, 원염(천일염) 생산 방식 개선
○ 대 책 : 비닐장판위에서 발로 밟고 밀어되는 대파질없는 스마트 염전시설
○ 기대효과 : 새로운 공종의 대단위 일자리창출 및 고부가가치 창출.
< 맑고 깨끗한 ‘고품질 원염(천일염) 생산’ 및 갯벌 환경 복원화 까지 성공. >
○ 결 론 : 원염(천일염)이 좋아야 가공염이 좋다.
우리에게 최고다.라는걸 체험 하고 있습니다.
(개인적 사견임을 먼저 밝힘니다.)
... 질 좋은 자연의 천일염 맛이라함은
첫 맛은 소금 맛 그대로 짭니다.
그런데 훈맛은 단맛이 납니다.
그리고 자연의 부드러운 맛 이라고 할까요.?
이러한 미묘한 맛을 가진 단맛에 입안이 마르지 않고, 혀 밑 침샘을 브드럽게 자극하여 침이 계속 나옵니다.
아무튼 쌉쓰름하고 탁 쏘는 강한 짠맛을 지닌 소금맛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천일염 맛. 부드러운 맛 자체 하나만으로도 좋은것 같아요.~~

갯벌에서 사는 '맛'을 잡는 방법이 별다르네요. 썰물에 갯벌이 드러나면 맛이 사는 구멍을 찾아 정제염을 넣으면 맛이 구멍 밖으로 튀어 나온다는 것입니다. 섬 가뭄 현장을 보기위해 찾은 신안 도초도 해변에서 주민들이 알려준 비법입니다.
도초도가 미네랄이 20%나 들어 있는 천일염을 생산...함을 알고 있는 저의 당연한 질문은 왜 천일염을 사용치 않고 정제염을 사용하느냐는 것이었습니다. 답은 이유는 모르지만 천일염을 사용하면 맛이 안나온다는 것. 이곳 주민들은 오직 맛을 잡기 위해서만 물 밖에서 정제염을 사온다고 합니다.
저녁에 간장에 절인 맛이 나와 또 화제가 되었지만 여전히 답을 찾을 수 없었고, 누가 처음 정제염으로 맛을 잡을 생각을 했는지도 알 수 없었습니다. 하여튼 소금의 질이 다른데 답이 있을 것 같은데...
'나의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환경호르몬 ( 프탈레이트 ) 염려없는 식품. 고품질 기능성 천일염 생산 목표 달성을 위하여~~ (0) | 2018.06.25 |
---|---|
‘고품질 원염(천일염)을 생산하는 기법에 관한 ‘원염(천일염)연구소’ 설치가 시급하다. (0) | 2018.06.05 |
그토록 좋은 지리적 여건을 살리지 못한체 마냥 '그토록 좋다고만 하는 우리의 천일염'.!! 알고나 먹읍시다. (0) | 2018.05.04 |
전남도의 4차 산업혁명. “우리는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.” (0) | 2018.04.10 |
국가기간산업의 식품 ‘천일염 생산 산업’. 스마트 염전 & 태양광발전 동시 구축. 세부적인 염전시설물 설치 설계 (0) | 2018.03.11 |